본문 바로가기
라이프/생활정보

에어컨 에러코드

by 가치삶 (가치있는 삶) 2025. 7. 25.

몇 일 전 푹푹찌는 날에 갑자기 에어컨의 오류 P0, P4가 떠서 많이 걱정했던 순간이 있었습니다. 

 

요즘은 더운날씨 관계로 as가 많아 신청해도 일주일 이상 걸린다는 말을 듣고 AS를 신청했습니다. 5일 정도 후에 연락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오류가반복적으로 뜨면 그때 서비스를 받으라고 말씀하셔서, 그냥 사용하고 있는데 언제 또 오류가 뜰지 조금 걱정이 되어 다양한 오류 코드 및 대처 방법등에 대해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에어컨 에러코드는 제조사와 모델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대부분 비슷한 원리로 작동하며 고장이나 이상 상황을 숫자나 알파벳 코드로 표시한다고 합니다.

1. 자주 나오는 에어컨 에러코드 

 

1). 에러코드의미와 조치 방법
- E1: 실내 온도 센서 이상. 전원 OFF 후 재가동. 지속     되면 센서 점검 필요.
- E2: 실내 열교환기 센서 이상. 필터 확인 및 먼지 청   소. 문제 지속 시 센서 교체.
- E3: 실외기 고압 이상. 실외기 주변 막힘 제거. 열 교      환기 청소. 전문가 점검 필요.
- E4: 실외기 온도 센서 이상. 재시동 후 반복되면 센        서 점검 필요.
- E5: 통신 오류 (실내기↔실외기) 전원 차단 후 5분        후 재시작. 배선 이상 시 수리 필요.
- E6: 실외기 압축기 이상. 냉매 부족 or 압축기 고장.      A/S 필요.
- CH05: C5통신 이상 (LG에서 자주 나옴). 실외기/실     내기 전원 재부팅. 통신선 확인.
- F0 :  H6팬 모터 이상 또는 작동 불가. 실내 팬 확인,      회전 안 되면 모터 고장일 수 있음.
- P1: P2배수 이상, 물 넘침 경고배수호스 막힘 확인,      물통 비우기.
- U4 : 88전원 이상 또는 불안정. 전압멀티탭/연결선      교체, 전원 재연결. 심하면 전기점검. 

- P0: 인버터 압축기 구동 PCB 이상. 전원 불안정, 인      버터 회로 이상, 컴프레서 문제.
 *조치방법: 전원 리셋 (5분 이상 차단) - 누전 차단기,      콘센트 확인 - 지속되면 인버터 PCB 교체 필요 (전문    가 점검)

-P4: 컴프레서 온도 과열 또는 센서 이상. 실외기 온도   센서 불량, 냉매 부족, 실외기 방열 불량.
 *조치방법: 실외기 통풍 확인, 주변 막힘 제거 - 전원         리셋- 반복 발생 시 센서 또는 냉매 문제로 A/S 필요


2) 제조사별 P에러 코드 예시

** LG 에어컨 (휘센)
P0: 인버터 전원보드 이상
P4: 압축기 온도 이상

** 삼성 무풍에어컨
P0: 실외기 인버터 모듈 이상
P4: 실외기 온도센서 이상 또는 컴프레서 과열

** 캐리어/위니아 등 기타
P 코드들은 대부분 실외기 쪽 인버터 회로 혹은 압축기 과열 관련입니다.


3. 주의사항 및 조치 순서

1) 전원 완전 차단 (실외기 포함) – 5~10분 후 재가동
2) 실외기 통풍 상태 확인 – 주변에 물건, 먼지 등으로      막힌 것 없는지
3) 누전차단기 상태 확인 – 전류 불안정 가능성
4) 에러 반복 시 전문가 A/S 필요 

4. 즉시 가동을 멈춰야 하는 '중대 에러코드'

*** 에어컨 에러 중에는 즉시 가동을 멈춰야 할 '중대한 고장 또는 위험' 신호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제품 손상, 화재 위험, 과열, 누수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즉시 전원 차단이 필요합니다.

(브랜드 공통 기준, 상황에 따라 일부 코드가 다를 수 있음)

- P0: 인버터 전원 회로 이상. 스파크, 발열, 화재 위험             가능성
- P4: 압축기 과열. 압축기 손상 및 고장 확대 우려
- E6: 압축기 작동 실패 또는 고장. 기계적 손상, 소손            위험
- CH38: (LG) / E4 (삼성 등) 냉매 누설 감지. 압축기            과부하, 냉매가스 누출 가능성
-H3: 실외기 과열. 화재 또는 내부 회로 소손 우려
- F0 / EC: 누수 감지 또는 물 넘침. 실내 누수 및 전기           합선 위험
- U0 / U4: 전원 이상 또는 전압 불안정. 전자 회로 손           상 가능성

🛑 이럴 땐 바로 전원을 끄세요

에러코드가 위 목록에 해당하고, 타는 냄새, 이상한 소리, 실외기 고주파음, 덜덜거림이 동반되거나
에어컨에서 물이 새거나, 벽이나 바닥이 젖는 경우

→  즉시 전원 차단 (실내기 + 실외기 회로차단기)
→  A/S 전까지 사용 중단함.


5. P0, P4에러에 대해

-- P0, P4 에러가 떴던 에어컨을 껐다가 다시 켰더니 잘 작동한다고 해도, "완전히 괜찮다"고 보긴 어렵다.
일시적인 회로 과부하나 온도 상승으로 잠시 멈췄던 것일 수 있지만 근본 원인은 여전히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 P0, P4가 떴다가 사라진 이유

-- 전압 일시 불안정. 순간적인 전류 이상으로 인버터        회로가 셧다운. 여름철 냉방 과부하로 자주 발생함
-- 실외기 과열. 더운 날씨 + 통풍 불량으로 과열되어        P4 발생. 실외기 주변이 막혀있거나 햇빛 직사광선      시 흔함
-- 센서 접촉 불량/오류. 진짜 고장은 아닌데 센서가         잘못 감지. 반복되면 점검 필요
-- 냉매 부족 초기 증상. 에러는 떴지만 아직 시스템이       유지 가능할 정도. 점점 자주 뜨거나 냉방이 약해질      수 있음

✅ 사용해도 되는 경우 (조건부)

-- 이후로 에러가 반복되지 않고, 냉방 성능도 이전과 동    일하고, 실외기와 실내기 소음/진동도 정상 수준이며,    물 새는 곳 없이 잘 작동하는 경우

*** 단기적으로는 사용 가능하지만 한 번이라도 떴다는 것은 경고 신호입니다.

** 알아두면 좋은 팁

에어컨을 고장 없이 오래 쓰려면 “사용 습관” + “주기적 관리”가 핵심

1. 사용 습관

-- 사용 전후 반드시 5분 간격 껐다가 바로 켜면 압축기    과부하 (P0, P4 원인)
-- 적정 온도 설정 (24~26℃), 너무 낮은 온도는 전력       낭비 + 컴프레서 과부하
-- 냉방은 ‘강풍’보다 ‘자동’ or ‘절전’ 에너지 효율 + 고       장률 줄임
-- 멀티탭 사용 금지 전압 불안정으로 회로 고장 위험       (특히 인버터 모델)

2. 정기적인 청소와 점검

-- 필터 청소 - 2주 ~ 1달마다 - 필터 분리 후 미지근한      물 세척, 완전 건조 후 재삽입
-- 냉각핀(열교환기) 청소 - 6개월 ~ 1년에 1회 - 필터      안쪽 알루미늄 핀에 먼지 끼면 성능 저하. 스프레이형   세정제 가능
-- 배수 호스 점검 - 여름철 자주 - 막히면 실내 누수           발생, 한 번씩 물 흐름 확인
-- 실외기 점검 - 여름 전 1회 이상 -주변 정리, 먼지           제거, 햇빛 가림막 사용 추천
-- 전문가 점검 - 1~2년에 1회 - 냉매량, 인버터 회로

3. 에어컨이 보내는 “고장 전조 증상” 

-- 바람이 약해짐 - 필터 막힘, 냉매 부족 - 필터 청소 /       점검 요청
-- 물이 샘 - 배수 호스 막힘 / 열교환기 결로 - 호스 청소 또는 수리
-- 덜덜 소음, 진동 - 실외기 고정 문제, 팬 이상 - 실외기    위치 점검
-- 켜자마자 꺼짐 - 전압 불안정, 회로 이상 - 차단기 점검 / 멀티탭 제거 / A/S 필요
-- 에러코드 발생 - 내부 고장 or 센서 이상 - 코드 확인       후 필요 시 수리 요청

** 에어컨 브랜드별  고객센터 연락처

삼성 1588‑3366
LG 1544‑7777
캐리어 1588‑8866
위니아 1588‑9588

요즘처럼 뜨거운 여름 에어컨 없이는 생활하기 어려운것 같습니다. 편안한 여름을 보내기 위해서 미리 살피고 점검해야 우리의 행복한 일상도 지킬 수 있을것 같습니다.  시원하고 쾌적한 여름 보내시기 바랍니다.~~!